수술이 다 끝나갈 무렵, 한 전공의는 "비만도와 수술료는 모름지기 비례해야 한다."고 툴툴거리며 배를 닫고 있었다. 두꺼운 뱃살과 싸우며 배를 닫던 전공의는 실이 끊어지면서 바늘에 손을 찔렸다.

"앗..따거워!!"
순간 정적이 흘렀다.
"선생님. 이 환자 매독......."
"나도 알아요. 흑흑"
젋은 시절 매독 치료를 받았던 환자였다. 그 후 괜찮다는 말을 듣고 지냈다고 했으나 세상에 믿을 사람 하나 없는법. 결국 감염관리실에 신고를 하고 나니 프로세스대로 채혈을 하고 응급의학과 선생님과 그 환자의 피검사 결과를 다시 확인하고 얻은 의견은 "꼭 맞아야 하는 적응증은 아니지만 일단은 찝찝하니......"
일단은 찝찝하니 페니실린 주사를 맞으라고 한다.

저렇게 생긴 약을 증류수에 녹이면 걸쭉한 흰 주사액이 완성된다. 피넛버터로 불릴 정도의 특유의 점도(?) 덕분에 주사약이 들어갈 때 통증도 엄청나거니와, 보통 엉덩이 주사를 맞을 때 쓰는 주사 바늘로 투여하면 십중팔구 주사기 본체와 바늘이 분리되어 약물이 폭발하는 대참사가 일어난다. 때문에 18 gauge라는 굵기만 봐도 오마이갓이 절로 나오는 두꺼운 바늘로 엉덩이에 두대를 맞아야 한다니 이럴수가.
응급실 인턴시절, 매독환자 CPR을 하다가 졸지에 피를 뒤집어쓴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우루루 응급실로 내려와 구석에서 차례로 비명을 지르는 것을 목격한 바 있다. 환자들에게 매독 치료 받은 적 있냐고 물으면 대개는 "기억이 안난다"라고 대답하지만 80대 어르신들에게 "예전에 매독이라고 엉덩이에 엄청 아픈 주사 치료받은적 있어요?" 라고 하면 바로 대답을 할 정도니 더 이상 말해 무엇하랴. 내 부주의를 한탄할 수 밖에.
원망스럽게도 빠른 손놀림으로 응급의학과 전공의가 처방을 냈고, 잠시후 한 간호사가 능글맞게 웃으며 나를 찾고 있었다.
"쌤. 이거 엄청 아픈데..ㅋㅋ."
"저좀 살려줘요.ㅠ_ㅠ"
"쌤~ 내가 엉덩이 잘 때려서 안아프게 해줄께요......라고 말하고 싶지만 장담은 못해요ㅋㅋ"
잠시후 나 역시 응급실 구석으로 끌려갔고, 18 gauge의 바늘이 엉덩이에 꽂힐 때 1번, 걸쭉한 약이 엉덩이로 들어갈 때 한번. 그리고 그 주사를 2대를 맞아야 했으니 도합 4번의 비명이 나올 찬스를 가까스로 억누르며 가슴속으로 외쳤다.
"오마이갓...뗌!!!!"
페니실린에의해 다리의 기혈(?)이 막힌 불쌍한 전공의는 다 풀려서 후들거리는 두 다리로 당직실로 돌아갔고, 이후 다른 전공의들과 치맥을하며 자체 통증 조절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고 한다. 다음부터 조심해야지. 난 소중하니까.
덧글
히이익...!
하필 VDRL 양성이 걸리다니...기운 내시라!!!!
큰 것에는 못 써도 실크 3-0 정도는 아주 쉽게 끊어버릴 수 있으니 Stitch-out할 때 아주 와따.
엄청 아프시겠어요 ㅠㅠ
항상 재밌게 읽고있습니다
(카이님 글 항상 흥미롭게 보고 있습니다. ^^)
조금더 많은 증류수에 녹여서?.. 점도를 좀 낮추면 안되는건가요? ..
무지한 공돌이다 보니... ... ...
저희 아버지도 성모병원에서 일하시는데.. 흐흐!!
급 조금의 친근감이 드네요 ~~ ^^